디지털적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Publish date: August, 2021
Publisher: 새물결
Translator: 조형준 Hyeongjun Cho, 이철규 Cheolkyu Lee, 임완철 Wancheol Lim
ISBN: 9788955594317
Pages: 464
Country: Korea
Language: Korean
Details & Translations: English / 中文 / 한국어

Description:

지난 20세기말에 서구지성계에 등장한 강력한 지적 조류로 알려진 ‘포스트모더니즘’의 경우 이념적으로 그것이 상징하는 것이 ‘이성의 패배’였다면 다른 한편 ‘현실에서’ 그것이 상징하는 것은 ‘기술의 승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니 21세기에 20세기를 회고해보면, 20세기는 하이데거 말대로 ‘존재망각’만큼이나 ‘기술망각’에 빠져 있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20세기가 ‘언어’ 또는 ‘기호’의 세기였다는 주장이 얼마나 많은 장단점을 갖는지를 이 측면에서 고스란히 볼 수 있다. 또 공산주의/자본주의의 대결 또한 이념적 측면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기술의 인간 지배라는 측면에서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20세기 사유를 주조한 하이데거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의 사유 또한 ‘기술’이라는 이 측면에서 재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역자서문
한국어판 서문

서론 디지털적 대상의 탐구: 개요

대상 57
자연적 대상: 실체와 주체 사이에서/기술적 대상: 실체로부터 ‘환경’으로/디지털78
디지털물리학과 컴퓨터적 형이상학78
정보철학82
디지털적 대상: 물질이 기술시스템과 맺는 관계86
존재94
방법: 크기의 등급94
개체발생: 온톨로지들 대 존재론99
망상화와 수렴103
본서의 구조110

1부 대상117

1장 디지털적 대상의 발생120
디지털적 대상과 그것의 ‘환경’
대상과 데이터의 이중운동125
기술적 대상의 개별화133
GML로부터 HTML로: 기술적 경향으로서의 형태139
질료형상론과 개별화143
XML과 웹온톨로지의 등장150

2장 디지털적 대상과 온톨로지163
디지털적 대상의 기원164
존재-인식론과 제1철학169
온톨로지 그리고 지식의 재현175
후설과 형식적 존재론의 기원179
기계 지향성과 컴퓨터적 온톨로지188
캔트웰 스미스의 대상들의 기원론194
온톨로지에서 기초존재론으로199
하이데거 그리고 닦달의 기원205
대상의 탈착과 세계에의 부착209

2부 관계215
3장 네트워크의 공간217
용재자 대 전재자219
기술적 대상, 기호 그리고 공간224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230
후설과 소여성-문제233
관계적인 것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딜레마와 중세의 해석들237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체-우유성 짝 맺기에 대한 흄의 비판 244
후설의 ‘급진적’ 흄 ‘해석’249
흄의 철학적 관계252
관계의 형식화: 라이프니츠와 러셀260
관계논리와 관계형DB265
관계, URI 그리고 정보검색268
‘환경’과 세계: 윅스퀼과 하이데거에 대해273
기술과 ‘환경’: 르루아-구랑과 스티글러에 관해280

4장 기술시스템의 시간 285
간주체성과 맥락291
맥락과 ‘환경’297
간대상적 관계301
기술진보로서의 간대상성308
‘환경’으로부터 시스템으로312
정보시스템과 웹317
간대상적 관계로서의 시간320
기술시스템 속의 시간324
시계-시간325
논리적 시간329
위상(학)적 시간332
기술진보의 한계 그리고 수렴337

3부 논리(학)345
5장 논리(학)와 대상347
변환적 논리[학]를 향해349
논리학과 존재론355
논리학에서의 대상과 개념359
웹상에서의 의미와 지시364
후설과 논리학비판368
지향적 행위와 초월론적 논리학377
의미, 지시(대상) 그리고 의미지평382
대상과 상상력386
생활세계와 범주적 형태의 결정화391
간대상성으로부터 간주체성으로 그리고 역으로396

6장 논리(학)와 시간403
하이데거의 첫 번째 전회408
하이데거와 위너의 언어 및 시간론413
칸트의 회피와 종합의 본질417
시간적 종합과 형이상학의 기초421
칸트 이후의 네 번째 종합425
종합으로서의 알고리즘429
재귀성과 컴퓨터적 해석학435
3차 예지438
네 번째 종합 이후의 반복444
시스템 이후의 ‘환경’: 기계학을 향해450

감사의 말458
<찾아보기>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