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 of Korean Translation of Art and Cosmotechnics (Seoul: 새물결, 2024)

/

The Korean publisher 새물결 (New Wave) has published a translation of Art and Cosmotechnics (2021).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유럽 이후의 새로운 사상 모색. 20세기 유럽사상과 동양의 전통적 사유까지 시좌視座에 넣어 동서양을 동시에 아우르고 넓게 드나드는 광폭적 사유. 인공지능이 왜 문제이고 철학과 예술에서는 어떤 물음을 촉발하는지를 고구考究한 역저이다.

유럽의 종말과 ‘포스트-유럽’ 이후 동서양의 사유, 우리의 사유가 나아갈 길은 무엇인가? 중국의 고전 예술 형태인 ‘산수화’의 철학적 논리에 대한 탐구를 통해 중국에서 행해져온 고전적인 철학 읽기 및 서구 형이상학과의 동시 대결을 시도하며 ‘새로운 시작’을 모색한다.

원시동굴벽화부터 AI회화까지, 기술과 예술이 합쳐진 Techne부터 시작된 예술은 이후 다시 둘로 분열되었다가 21세기에 ‘인공-지능’ 형태로 통일 중인가? 현대 예술은 종교, 철학과는 전혀 무관해지고 오직 디지털 기술에 의해서만 가능해질까?

 

서문 19

서론_감성교육에 관해
1. 비극적 코스모스의 역사심리학 25
2. 비극 예술의 재귀적 논리 34
3. 예술 경험의 다양성 47
4. 도가적 코스모테크닉스와 비극론적 코스모테크닉스 71
5. 재귀적 기계들의 추월 85
6. 유럽 이후, 예술과 철학 96

1장_세계와 대지
7. 철학의 종언 이후의 예술 107
8. 예술을 통한 다른 시작 117
9. 인공적인 것 속의 진리 132
10. 사유와 회화 144
11. 예술과 코스모스적인 것 165
12. 미지의 것의 인식론 179

2장_산수
13.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 현상학에 관한 노트 191
14. 산수와 관련된 첫 시론: 논리 202
14. 1. 상과 형 개념 204
14. 2. 현 논리: 대립적 연속성 219
14. 3. 현의 재귀성: 대립적 통일 244
14. 4. 코스모스적인 것과 도덕적인 것 256
15. 누메논의 영역 264
16. 감지와 공명 274

3장_예술과 자동화
17. 오늘날의 기계지능의 지위 290
18. 유기체론의 한계 304
19. 계산 불가능한 것과 연산 불가능한 것 316
20. 지능, 이성, 직관 334
21. 산수화와 관련된 두 번째 시론: 장소 345
21. 1. 산수의 장소 346
21. 2. 재상황화하기로서의 바쇼 안에 놓기 360
21. 3. 공간과 장소 367
22. 인식혁명으로서의 예술 374

옮긴이 후기 387
찾아보기 391

Latest from Blog